본문 바로가기

Kubeflow3

Kubeflow (2) - Katlib 지난 장에서 Kubeflow를 겨우 설치하는 데 성공하였다. 아무래도 로컬 환경에서 자원을 쪼개서, Kubeflow를 돌리다 보니 조금 버벅거리는 감이 있지만, Kubeflow의 각 기능을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자. 가장 먼저 알아볼 기능은 Katlib이다. 사실, 클라우드 환경이 아니라 로컬에서 Kubeflow를 실행하다보니, Kubeflow UI에서 지원해 주는 Notebooks나 Tensorboard 기능은 사실 잘 와닿지 않았다. (로컬에서 실행하면 되기 때문에) 하지만, Katlib은 평소 네트워크 학습 과정에서 걸리던 하이퍼파리미터 튜닝등의 문제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 같아, Katlib부터 소개하기로 한다. Katlib Katlib은 앞선 장에서 설명했듯, 하이퍼파라미터 최적화 & 뉴.. 2023. 4. 11.
Kubeflow (1) - 설치 (Windows 11 - WSL로 설치) 회사에서는 ML Ops 환경이 어느 정도 갖춰져 있어서, Kubeflow를 직접 설치하지 않았다. Local에서 Kubeflow를 설치하려고 하니, 생각보다 쉽지 않았다. 시간은 조금 걸렸지만, 설치하는 과정을 적어보고자 한다. WSL 설치 Window에서 Kubernetes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WSL(Windows Subsystem for Linux) 환경을 구성해야한다. 먼저, Windows 검색 창에 Windows 기능 켜기/끄기를 검색하여 실행한다. Windows 기능 켜기/끄기 List들에서 Linux용 Windows 하위 시스템을 체크해 준다. Windows Powershell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한 뒤, wsl이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보통 설치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아서 확인) ws.. 2023. 3. 28.
Kubeflow (0) - 소개 AI가 연구의 영역에서 실용 영역으로 침투하기 시작하면서, AI로 구성된 서비스를 어떻게 잘 제공할 것인지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chat-gpt로 AI 영역에서 엔지니어링의 중요성이 대두된 만큼, AI 서비스의 수집부터, 제공까지의 워크플로우를 어떻게 관리할 것인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Kubeflow는 이런 상황 속에서 등장하고 발전했다. (처음 등장한 지는 조금 오래됐다 - 2018년) ML workflow 란? Kubeflow를 알기 위해서는 ML workflow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ML workflow는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만든 서비스를 배포하기까지의 일련의 과정들을 모두 포함한다. (사실, 머신러닝 & 딥러닝을 구분해야하지만, 해당 글에서는 머신러닝으.. 2023. 3.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