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EfficientViT 배경 설명

  • EfficientViT는 2023년 발표된 논문이다. 
  • ViT의 memory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해, 샌드위치 구조의 레이아웃과 cascaded group attention을 도입한 EfficientViT model을 제안하였다.
  • model 속도와 accuracy가 매우 좋다. 

Abstract

  • ViT는 성능이 좋지만, 연산 비용이 너무 커서, 실사용에 문제가 있다.
  • 이 논문에서는 EfficientViT라는 빠른 속도의 ViT 모델을 소개한다. 
  • 기존 transformer 구조의 모델들이 memory를 효과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MHSA(Multi-Head Self-Attention)의 tensor reshaping이나 element-wise function으로 인해 제약이 있음을 발견했고, FFN 층들 사이에 MHSA를 배치하는 샌드위치 구조를 구성하여 memory 사용량을 줄였다. 
  • 또한, head들의 attention map들 간에 비슷한 부분을 공유하여, 연산적으로 불필요한 부분이 많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cascadede group attention module이라는 feature를 각기 다른 split들로 attention head를 통과시키는 구조를 제안했다. 이로 인해, 단순 연산의 단순함뿐 아니라, attention의 다양성도 향상했다. 
  • 실험을 통해, EfficientVit는 기존 efficient model들에 비해 더 빠른 속도에서 좋은 성능을 보임을 증명했다.

 

Introduction

[배경]

  • 기존 ViT model들은 computer vision 분야에서 좋은 성능을 보여주었지만, 성능 증가에 다라 model size 증가와 연산 overhead 증가로 인해, 실시간을 요하는 상황에서 사용하기 불안정하다. 
  •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ViT 경량화 model들이  나왔지만,  model parameter와 Flop을 줄이는 방식을 사용했기에 속도에 대한 객관적 측정이 될 수 없고, 실제 inference throunput을 반영하지 못한다. (속도 향상이 model size 줄이는 것에 기인했는지, 방법에 기인했는지 객관적 판단 불가)

[논문-Analysis]

  • 이를 해결하기 위해, 논문에서는 ViT를 빠르게 하기 위해 근본적으로 ViT를 어떻게 설계해야할지를 연구하였다.
  • ViT inference speed에 영향을 미치는 3가지 요인인, memory access, computation redundancy, parameter usage 측면에서 살펴봤고, 그중, memory bound의 영향이 큰 것을 발견했다. 
  • 즉, memory 접근이 GPU/CPU의 연산 활용을 막고, 속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침을 발견했다. 
  • memory가 비효율적으로 활용되는 연산들은 주로 multi-head self attention(MHSA)의 tensor reshaping과 element-wise function 연산에서 나타났다. 
  • 논문에서는 MHSA와 FFN의 비율을 적절히 조정하여 성능을 유지하면서 memory 접근을 크게 줄였다. 
  • 또한, 몇개의 attention head들이 서로 선형 관계를 갖기 때문에 attetion map에 불필요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 이 현상을 각 head에 다양한 feature를 제공하는 방식을 활용하여, 완화시키고 연산 효율성도 가져갈 수 있다.
  • 추가적으로 parameter 효율성을 향상하기 위해, structured pruning을 이용하여, 불필요한 parameter를 줄였다.

[EfficientViT]

  • 논문에서는 앞선 연구를 바탕으로 "EfficientViT"를 제안한다.
  • 특히, 샌드위치 구조의 레이아웃으로 모델을 만들어, MHSA와 FFN 사이에 하나의 memory bound만 두게 하여, 연산 속도를 향상했다.
  • 또한, 새로운 cascaded group atention(CGA) 모듈을 제안하여, 연산 효율성을 향상했다. 
  • CGA의 핵심 아이디어는 head에 각기 다른 feature를 input으로 준다는 것이다. (즉, Head 들간의 선형적 관계 등의 중복된 feature들이 연산에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각기 다른 feature를 보도록 조정하겠다.)
  • 마지막으로, network의 중요한 부분에 channel을 늘리는 등 parameter를 재조정하여, parameter 효율성을 향상한다. 

[실험]

  • 기존 CNN과 ViT 기반의 lightweight 모델에 비해 빠르면서 성능이 좋다.

 

ViT 속도 연구

  • ViT 효율성을 향상하기 위해, 3가지 측면(1.memory access 2.computation redundancy 3.parameter usage)에서 관찰하였다. 

Memory Efficiency

  • Memory 접근으로 인한 ovehead는 model 속도에 매우 주요한 요인이다. 
  • transformer의 연산 중, tensor reshaping, element-wise addition, normalization 등이 memory unit 사이들의 접근을 요해서,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된다. 
  • 이 연산들을 조금 더 간단하게 바꾸기 위한 연구들이 있었으나, (softmax self-attention 간략화, sparse attention, low-rank approximation) 대게 성능 하락이 존재하고, 속도 향상에 한계가 있었다.
  • 이 논문에서는 memory access를 줄이기 위해, memory-inefficient layer를 줄이는 방법을 사용한다. 
  • 최근 연구들에서 memory에 비효율적인 부분은 FFN보다 MSHA에 주로 존재한다고 하였다. 하지만, 기존 ViT 구조에서는 두 layer들이 동일한 수를 유지하고 있다. 
  • 논문에서 Swin-T, DeiT-T로 실험해 보았을 때, MSHA의 비율을 20~40%로 줄였을 때, 좋은 성능이 나오고, 속도로 각각 1.25배, 1.5배로 빨라졌음을 확인했다. (아래 그래프 참고)
  • 즉, MSHA의 비율을 줄이는 것이 모델 성능과 속도 측면에서 모두 유리했다.

 

Computation Efficiency

  • MHSA에서 attention map은 연산이 비싸지만, 그중 일부들은 꼭 필요 없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 attention 간의 similarity를 재보았을 때, 매우 높은 similarity를 보였다. 
  • 이것은 각 head들이 동일 feature에 대해서 비슷한 projection을 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연산들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 각 head들이 다른 pattern을 보이게 하기 위해, 각 head에 feature의 부분 부분을 쪼개어 각기 다른 feauture를 처리하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했다. 이것은 group convolution과 비슷한 개념이다. 


Parameter Efficiency

  • ViT는 NLP의 Transformer 구조를 그대로 가져왔기 때문에, Q, K, V의 구조를 따르고, FFN의 확장 비율을 4로 설정해 놓았다.
  • Lightweight model에서는 이러한 구조를 재설계하는 방식을 따르는데, 이 논문에서도 Talylor structured pruning을 사용하여 중요 parameter만 남기도록 하였다. 
  • 이 방법은 gradient와 weight의 곱을 channel 중요도로 정의하여, 중요하지 않은 channel을 제거하고, 가장 중요한 channel을 유지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 연구를 통해, 2가지 사실을 알 수 있는데, 첫 번째로, 첫 2 stage에서는 더 많은 dimension을 유지하지만, 마지막 단계에서는 훨씬 적은 dimension이 유진 된다. 두 번째로, Q, K 및 FFN dimension은 크게 축소되지만, V dimension은 거의 유지되고, 마지막 몇 개의 block에서만 감소한다.
  • 이를 통해, 1) 기존 channel 구성 방식(FFN 확장 비율 :4)은 마지막 몇 개의 block에서 많은 중복을 초래한다. 2) Q, K는 V에 비해, 훨씬 많은 중복이 존재하고, V는 상대적으로 더 큰 dimension을 선호한다. 는 점을 유추할 수 있다.

 

 

EfficinetViT

EfficinetViT Building Block

  • 아래 그림처럼 EfficientViT는 memory 효율적인 샌드위치 구조의 layout과 cascaded group attention을 사용했다. 

[Sandwich Layout]

  • spatial mixing을 위해 self-attention layer를 중간에 두고, 이를 FFN layer가 양쪽에서 감싸는 형태로 구성하는 구조이다. 
  • 이 설계로 인해, model 내, self-attention layer로 인한 memory 사용 및 처리 시간을 줄이고, FFN layer를 더 많이 활용하여 , 다양한 channel 간 연결을 효과적으로 수행되도록 한다.

[Cascaded Group Attention]

  • MHSA에서 attention head의 중복성은 연산 효율성을 떨어뜨린다. 
  • 이를 해결하기 위해, group convolution에서 영감 받아, ViT용 Cascaded Group  Attentin을 제안한다.
  • 이는 각 head에 full feature를 나눈 서로 다른 부분을 입력으로 사용하여, attention 연산을 각 head에 분산시킨다.
  • CGA는 각 head의 입력에 더 풍부한 정볼르 포함하도록, Q, K, V layer를 개선한다. 
  • 각 head의 출력이 다음 head의 입력에 추가되어, feaure의 representation이 점점 향상된다. 
  • 추가적으로 Q projection 이후에 새로운 token interaction layer를 추가하여, self-attention이 local과 global 관계를 동시에 잡을 수 있도록 한다.
  • 이런 cascaded 방식은 2가지의 장점이 있다. 1) attention map의 다양성 향상 2) network 깊이 증가

[Parameter Reallocation]

  • parameter 효율성 증가를 위해, network의 parameter를 중요한 부분의 channel은 더 넓게, 안 중요한 부분은 더 좁게 만드는 재배치를 진행하였다.
  • Q, K는 앞선 연구를 바탕으로 작은 channel만 할당하였고, V에 대해선 느 input embedding과 동일 dimension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 또한, FFN의 parameter 중복성을 고려해 기존 확장비율 4에서 2로 조정하였다.
  • 이로 인해, 중요 정보는 유지하면서 불필요 parameter를 줄여 model 효율성을 향상했다.

EfficinetViT Network Architecture

  • model은 크게 3가지 단계로 구성되었다. 각 단계는 앞선 EfficientViT Block들로 구성되어 있고, 각 subsampling layer에서 token 개수가 4배 감소한다.
  • 효과적인 subsampling을 위해, sandwich 구조의 subsampling block을 제안하였다. 정보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ㄴself-attention layer를 inverted residual block으로 대체하였다. 
  • EfficientViT는 Layer Normalization 대신, Batch Normalization을 사용했다. (실행 시간 측면에서 유리)
  • 속도를 위해, GELU, HardSwish 대신 RELU를 사용했다.

 

 

Experiments

  • ImageNet-1K classification에서 기존 lightweight model들에 비해, 빠른 속도에서 더 좋은 성능을 보였다. 

 

Reference

Liu, X., Peng, H., Zheng, N., Yang, Y., Hu, H., & Yuan, Y. (2023). Efficientvit: Memory efficient vision transformer with cascaded group attention. In Proceedings of the IEEE/CVF Conference on Computer Vision and Pattern Recognition (pp. 14420-14430).

반응형

GPU 없는 환경에서 Image Classification을 해야 할 상황이 되었다. MobileNet으로 실험할까 하다, 성능도 어느 정도 챙기고 싶어, MobileViT 논문을 읽게 되었다. 

MobileViT v2 배경 설명

  • MobileVIT v2는 2022년 Apple에서 발표한 "Separable Self-attention for Mobile Vision Transformers" 논문에서 소개된 모델이다.
  • 기존 MobieViT가 model의 parameter 경량화에 성공하면서, CNN 기반의 mobilenet보다 좋은 성능을 보였지만, inference 속도가 느리다는 점을, separable self-attention 개념으로 해결한 논문이다.

 

Abstract

  • MobileVit가 적은 parameter로 좋은 성능을 보였지만, CNN 기반의 모델에 비해 수행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다.
  • 수행 시간 감소에 가장 큰 bottleneck은 MobileViT의 multi-headed self-attention(MHA)이다. 이 연산은 patch의 개수 k에 대해 O(k^2)의 연산 복잡도를 갖기 때문이다. 또한, MHA는 batch 단위의 matrix multiplication 같은 cost가 큰 연산을 포함하여, 수행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 이 논문에서는 선형복잡도를 가지는 "separable self-attention"을 제안한다. separable self-attention을 위해, element-wise 연산을 수행하여, 제한된 device 환경에서도 효율적으로 사용가능하다.
  • separable self-attention을 적용한 모델인 MobiileViTv2는 mobile vision task의 다양한 분야에서 SOTA 성능을 보인다. (ImageNet classification, MS-COCO OD)
  • 3 million parameter만으로 ImageNet top-1 accuracy 75.6%를 달성하였다. 이것은 MobileViT v1보다, 3.2배 빠르면서, 1% 정도의 높은 성능을 보여준 것이다.

 

Introduction

[배경]

  • MobileViT의 등장으로, ViT를 제한된 device 환경에서도 활용할 수 있게 되었지만, 이러한 모델은 속도 향상을 막는 주요 원인은 global representation을 학습하기 위해 꼭 필요한, multi-headed self-attention(MHA)이다. 
  • MHA 계산을 위해, token(ViT에서는 patch)의 제곱에 해당하는 연산 복잡도(O(k^2))를 가진 연산이 필요하다. 
  • 또한, MHA 계산에는 복잡한 matrix 연산이 필요한데, 이러한 cost가 큰 연산들은 제한된 메모리 환경과 power 환경에서 제한된 성능을 가지게 된다.
  • 따라서, 이 논문은 제한된 device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transformer의 self-attention을 효율화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결과이다. 

[관련 연구]

  • ViT에 한정하지 않더라도, 몇 가지 연구들이 self-attention 연산을 최적화하기 위한 시도를 하였다.
  • 그들 중, 대다수는 self-attention layer의 sparsity를 도입하여, 각 toekn이 다른 token 전체를 계산하는 것이 아니라, 일부를 참조하도록 바꾸는 방향이다. 이러한 시도들은 연산복잡도를, O(k*sqrt(k))나 O(k*logk)까지 낮췄다. 하지만, 그에 따라 성능도 감소했다.
  • 다른 방법으로는 low-rank approximation을 이용한 연산이다. Linformer(아직 안 읽어봄)는 linear projection을 통해, self-attention 연산을 여러 개의 작은 self-attention 연산으로 decompose 하였다. 이로 인해, 연산복잡도는 O(k)까지 떨어졌다. 그러나, Linformer는 여전히 cost가 큰 batch 단위의 matrix multiplication 등을 유지하고 있다.

[소개]

  • 이 논문에서는 separable self-attention 이라는 O(k)의 연산 복잡도를 가진 새로운 self-attention 방법을 소개한다.
  • 효율적인 inference를 위해, 복잡한 연산들을 element-wise operation(덧셈, 곱셈)으로 대체했다. 

 

Model : MobileViT V2

  • MobileViT는 CNN과 ViT를 결합한 네트워크이다. MobileViT는 transformer를 convolution으로 보는 방식으로, convolution과 transformer의 장범을 모두 활용했다. MobileViT는 적은 parameter만으로도, CNN 기반의 MobileNet보다 좋은 성능을 보였으나, 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고, 그 bottleneck은 multi-headed attention(MHA)이다.
  • MHA는 각 patch들간의 context 관계 연산을 위해, scaled dot-product attention을 사용한다. 하지만, MHA는 O(k^2)의 복잡 연산도를 가지기에, k가 큰 경우(큰 이미지나, patch를 작은 단위로 나눈 경우)에는 매우 연산량이 많아진다. 
  • 또한, MHA는 연산과 memory의 소모가 큰 batch 단위의 matrix multiplication 등의 연산을 사용하는데, 이것은 제한된 device 환경에서 성능 저하의 요인이 될 수 있다. 
  • 이를 해결하기 위해, 논문에서는 선형 복잡도를 가지는 separable self-attention을 제시한다.
  • separable self-attention의 핵심 아이디어는 latent token L에 대한 context score를 계산하는 것이다. 이 socre를 이용하여 input token을 re-weight 하고, global information을 담은 context vector도 만들어낸다. 

Overview of MHA

  • MHA는 transformer가 token 간의 관계를 encoding 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듈이다.
  • Transformer의 MHA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글 참조 바란다. 

2023.05.08 - [NLP 논문] - Transformer (Attention Is All You Need) - (1) 리뷰\

 

Transformer (Attention Is All You Need) - (1) 리뷰

Transformer 배경 설명 Transformer는 Google Brain이 2017년 "Attention is All You Need"라는 논문에서 제안된 딥러닝 모델이다. Transformer는 기존 자연어 처리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던 RNN, LSTM 같은 순환 신경망 모

devhwi.tistory.com

 

Separable self-attention

  • separable self-attention은 MHA의 구조를 따랐다. MHA와 비슷하게, input 값은 Query, Key , Value의 3개의 branch를 통해 처리된다.

[Query]

  • ViT에서 Query는 이미지의 patch를 linear layer에 통과하여 얻은 d dimension의 feature이다. 이를 d X 1 linear layer에 통과시키고, softmax를 취해주어, context score를 생성한다. (기존 Transformer에서 연산량을 크게 줄인 부분, 과거에는 feature 단위로 attention을 계산하였지만, latent vector 단위로 attention을 계산하겠다.)

[Key]

  • 한편, Key에서는 input이 d X d linear layer를 거쳐서, k X d의 key feature를 만들고, 앞서 구한, context score와 key feature의 weighted sum으로 context vector를 구한다. 이렇게 구해진 context vector는 가볍지만, input x에 대한 모든 token 정보를 지니고 있다.

[Value]

  • 마지막으로, value에서는 input이 d X d linear layer와 ReLU를 거쳐서, k X d의 feature를 만들고, 앞서 구한 context vector를 Value feature에 적용해 준다. 이렇게 구해진 feature를 최종 d X d linear layer에 거쳐서, self-attention 값을 생성한다. 


MobileViTv2 아키텍처

  • separable self-attention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기본 MobileViT 구조에서 attention만 바꿨다. 
  • 추가적으로 기본 MobileViT에서 skip connection과 fusion block을 제거하여, 성능을 약간 향상했다. 

 

실험 결과

[실험 셋팅]

ImageNet-1k 학습

  • batch size 1024로 300 epoch을 scratch부터 학습시켰다.
  • optimizer로는 AdamW를 사용하였고, ImageNet-1k를 1.28 million과 5000개로 나누어, train set과 validation set을 구성했다. 

ImageNet-21k-P로 Pretraining & ImageNet-1k finetuning

  • ImageNet-21k(13 mullion, 19000 classes)를 이용하여 pretraining을 진행했다. 
  • ImageNet-21k의 validation set과 ImageNet-1k validationset은 중복되지 않는다. 

 

[기존 모델들과 비교]

  • 성능과 속도 측면, parameter 양에서 종합적으로 고려해 보았을 때, MobileViT는 좋은 성능을 보인다. 

 

[다른 Task]

  • 각각 semantic segmentation과 OD에서도 종합적으로 좋은 성능을 보인다. 

 

 

총평 

  • 간단한 아이디어인데, 논문에서 비슷한 내용이 계속 반복되는 느낌이 든다. 
  • 해결한 방법보다, 현재 transformer의 구조에서 속도가 느린 점을 명확히 파악한 것이 더 흥미롭다. 
  • 가벼운 모델 하면, EfficientNet과 MobileNet 정도 생각했었는데, 사용 가능한 선택지가 하나 추가된 것 같다. 

 

Reference

MEHTA, Sachin; RASTEGARI, Mohammad. Separable self-attention for mobile vision transformers. arXiv preprint arXiv:2206.02680, 2022.

 

반응형

논문 배경 설명

  • Fine-tuning Image Transformers using Learnable Memory은 2022년 CVPR에 제출된 Google 논문이다.
  • memory token 개념을 사용하여, ViT에서 과거 task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여, 성능을 유지하고, 새로운 task에 대한 학습을 진행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했다. 
  • 저자들은 지속 & 확장 가능한 memory 개념으로 소개하는데, 만약 진짜라면, external memory 개념으로 탈부착 가능한 memory가 될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Abstract

  • 이 논문에서는 Vision Transformer model에 학습 가능한 memory token을 넣은 새로운 ViT 모델을 소개한다.
  • 이 모델의 방법에서는 하나의 task에서 학습한 parameter들을 새로운 task 학습에서 활용 가능하다.
  • 이를 위해, 각 layer들에 특정 dataset에 대한 contextual 정보를 제공하는 "memory token"이라는  learnable embedding vector들을 도입하였다. 
  • 이러한 간단한 변형은 transfer learning에서 단순 head만을 fine-tuning 하는 것보다 큰 성능 향상을 보이고, 연산 비용이 매우 큰 full fine-tuning에 비교해서도 약간의 성능 차이만 보인다. (약간 낮다.)
  • 또한, 이 논문에서는 computation 재사용으로 새로운 downstream task들에 사용가능한 attention-masking 방법을 소개한다.

 

Introduction

[배경]

  • ViT 모델은 일반적으로 대량의 데이터들을 통해 학습되고, 다양한 downstream task에서 성능 향상을 위해 fine-tuning 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 높은 정확도를 위해, 전체 모델을 목적에 맞는 task에 fine-tuning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문제]

  • 하지만, 일반적으로 Transformer 기반 모델들은 많은 수의 parameter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fine-tuning 과정에 연산 cost가 크고, 특히, 전체 모델 fine-tuning 방법은 learning rate에 민감하다는 문제가 있다. 

[소개]

  • 이 논문에서는 transformer의 각 layer에 learnable token을 새로 추가하여, pre-trained model을 구성하는 새로운 방법을 소개한다. 
  • 새로운 token들은 최종 prediction 성능 향상에 사용될 수 있는 contextual 정보들을 포함한 영구적 memory처럼 동작한다.
  • 또한, 이러한 token은 pixel 기반 patch부터 최종 concept 수준까지 다양한 수준의 추상화 개념을 나타낼 수 있다. (pixel 정보부터 다양한 문맥 정보까지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결과]

  • 새로운 방법은 downstream task에서 기존 head를 fine-tuning한 모델보다, 큰 성능 향상을 보였다. 
  • 또한, 이러한 아키텍처 디자인은 약간의 computing cost 증가만으로, 새로운 taksk를 학습하면서도, 기존 task에 대한 성능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기존 모델들은 새로운 task를 학습하면, 이전 task에 대한 성능이 떨어짐)
  • 이를 위해, 적절한 attention masking이라는 새로운 방법을 소개하여, 과거 task에 대한 정보를 memory에 저장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러한 방식은 continual learning의 개념처럼, 계속하여 새로운 기능을 더하여 다양한 task에 모두 활용 가능한 하나의 모델로 활용될 수 있다.

 

Memory Model

  • Base mode로는 original ViT 논문의 구조를 그대로 사용한다. (다만, 이 논문에서는 classification model들만을 고려하기 때문에, decoder는 사용하지 않는다. )
  • 일반적인 image transformer의 input은 다음과 같다. (Epos : positional embedding, Xcls : class token)

  • 논문에서는 새로운 memory 정보를 더하기 위해, 이 input에 m개의 learning embedding(Emem)을 concatenate해준다.

  • 즉, N+1+m token이 Transformer encoder layer들의 input으로 사용된다.
  • 각 layer들은 일반 ViT의 layer들과 거의 비슷하다. 유일하게 다른 점은 self attention module의 처음 N+1 token들만 output으로 보낸다는 점이다. (m개의 token들은 다음 layer로 보내지 않음)
  • 따라서, l번 layer의 output은 N+1개의 token을 가진 y_l로 명명하면, 연속적인 layer들은 모두 아래와 같은 pattern의 input을 받는다. (전 layer에서 token N+1개와 memory token m개)

  • 전체 network 구조는 아래와 같다. 

 

[Fine-tuning with full attention]

  • 이 모델에서 memory의 주된 용도는 fine-tuning에서의 활용이다.
  • 이를 위해, randomly-initialized memory token을 제시하고, gradient descent를 활용하여 memory token을 학습한다. 
  • 이 방법은 좋은 결과를 보여주지만, 이렇게 학습된 model은 hidden activation들의 변화가 일어나, 과거 task에 더 이상 활용 불가능하다.

[Attention masking for computation reuse]

  • 새로운 task만을 위한 fine-tuning에서는 문제가 되지 않지만, 앞선 task의 성능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task를 학습하고 싶은 경우에는 활용 불가능하다.
  • 이 논문에서는 기존 dataset class token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dataset class token에 대한 memory 구조를 사용한다. 
  • 결과적으로, parameter들과 computation을 reuse 하여 동일 input에 대한 multiple task들을 처리할 수 있다. 
  • 이를 위해, original class token 및 input patch들이 새로운 dataset이 사용하는 memory token 및 new class token에 활용되지 않도록 막는 attention mask를 사용한다.  (attention mask의 동작은 아래와 같다. 아래 그림처럼, 해당하는 학습에 대한 class token만 유지하고, 다른 class들은 masking 한다. 별표가 mask)
  • 각 task의 head는 각 dataset token에 연결된다. 

[model concatenation]

  • Attention masking은 새로운 task 확장을 위한 memory 추가에 이용될 수 있다.
  • 새로운 dataset에 대한 model 학습 시에는 attention masking을 이용하여 이전 dataset들에 대한 참조를 막고, 새로운 dataset에 대해 학습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 아래 그림처럼, 각기 독립적으로 학습된 memory를 연결하여, 모델을 구성한다. 

Experiments

[실험 setup]

  • ViT-B/32 base transformer model을 base 모델로 사용하였고, ViT original paper에서 제공된 Imagenet-21K pretrained model을 사용했다. (80M parameters)
  • orginal ViT의 fine-tuning 방법을 따라, cosine learning reate schedule 등의 fine-tuning setup을 그대로 사용했다. 
  • batch size는 512이고, 20000 step의 fine-tuning을 진행했다. 
  • SGD를 사용했고, gradient clipping을 사용했다. 5-step의 linear rate warmup도 했다.
  • Memory는 N(0,0.02)로 initialization 시켰다. 
  • 성능 측정을 위한 dataset으로는 CIFAR-100, i-Naturalist, Places-365, SUN-397을 사용했다. 

 

[실험 모델: Baseline fine-tuning]

 

Full fine-tuning

  • 전체 model을 fine-tuning 함. 가장 expensive 하고, 각 task가 전체 model이 필요하기 때문에, 실용성이 가장 떨어짐. overfitting 가능성이나, learning rate에 민감함. 

Head-only fine-tuning

  • classifier의 head만 fine-tuning 함. 이 방식은 pre-trained의 mmbedding을 재활용함. 가장 큰 장점은 parameter들과 compute를 재사용할 수 있다는 것.

Head + Class token

  • head와 class token을 fine-tuning함. 이 방식에서는 input token attention이 새로운 class token에 따라 바뀌면서, 연산 재사용이 불가능함. 

[실험 모델: memory fine-tuning]

 

Memory + head + class token

  • memory fine-tuning 모델로 부르는, 논문에서 소개된 모델임. 1,2,5,10,20 cell에 대한 실험을 진행함. 각 layer에서 20개 이상에서는 더 이상 성능 향상이 일어나지 않음. cell 5개가 알맞았음. 

Memory with attention mask

  • head-only fine-tuning과 Head + Class token의 장점을 결합한 방법. Head + Class token보다 높은 성능을 보이고, full-attention fine-tuning보다는 약간 낮은 성능을 보임. 이 방법의 가장 큰 장점은 독립적으로 다양한 task를 fine-tuning 할 수 있다는 것이고, 여러 연산을 하나의 모델로 모을 수 있다는 것.

 

[Transfer Learning 성능 비교]

 

  • full fine-tuning은 learning rate에 민감하다. large learning tate에서 큰 성능 저하를 일으켜, 이 부분에서는 memory와 head-only fine-tuning이 오히려 더 좋은 성능을 보인다. 
  • 아래 그림에서 확인할 수 있듯, memory를 이용한 방법들이 다른 방식의 fine-tuning보다 좋은 성능을 보인다. 

  • 각 fine-tuning의 가장 optimal learning rate에서의 성능을 비교해 보았을 때, 결과는 아래 표와 같다. 
  • 많은 데이터셋에서 5~20 cell 사이의 memory fine-tuning이 좋은 성능을 보인다. 

 

Conclusion & Limitation

  • 이 논문에서는 memory 구조를 transformer model에 결합한 새로운 방법을 제안했다.
  • memory를 사용한 새로운 모델은 fine-tuning에서 좋은 성능을 보였고, 다양한 task 학습을 가능하게 했다.
  • memory yoken은 attention model의 중요한 부분으로, lifetime and continuous learning에 중요한 요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 몇 가지 한계와 future work를 소개한다.

[scaling memory]

  • 저자들은 memory token이 특정 숫자를 넘어가면, 성능 향상이 줄어드는 것을 발견했다. 
  • 한 가지 가능한 방법은 Top-K memory token만 참조하도록 제한을 거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불필요한 token들의 참조를 막아, background noise 등을 제거할 수 있을 것이다.

[combining episodic memory with learnable memory]

  • Episodic memory와 함께 사용하는 방법도 생각해 볼 수 있다.

[incremetal model extension]

  • 논문에서는 multiple attention masking model이 독립적으로 학습되어 하나의 모델로 합쳐지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순차적인 학습으로 인한 중간 메모리 축적으로 생기는 이점(아마, 각기 다른 학습 간의 시너지를 의미하는 것 같음)은 커리큘럼 학습에 중요하고, 이것이 향후 연구의 주제가 될 것이다. 

 

논문 총평

  • 매우 아이디어가 간단하고, 아이디어에 대한 실험 결과가 매우 명확한 논문이다. 
  • 과거에 Knowledge distilliation을 잠시 파본 기억이 있는데, CNN 기반에서 distillation이 매우 어렵다고 생각했었는데, ViT 기반에서 memory token 개념을 사용하여 해결한 것이 매우 인상적이다. (그 후론 CNN 기반에서 방법을 찾아본 적이 없어서, 비슷한 아이디어가 있는지는 모르겠다.)
  • 다만, 실제 데이터에서 잘 working 하는지는 직접 실험을 해봐야 판단이 가능할 것 같다.

 

Reference

Sandler, M., Zhmoginov, A., Vladymyrov, M., & Jackson, A. (2022). Fine-tuning image transformers using learnable memory. In Proceedings of the IEEE/CVF Conference on Computer Vision and Pattern Recognition (pp. 12155-12164).

반응형

MobileViT 배경 설명

  • MobileViT은 2022년 Apple에서 ICLR 2022에 제출한 논문이다. (Apple이여서, mobile에 대한 CNN이 더욱 필요했을 것이다.)
  • CNN에서 mobilenet이 나왔듯, ViT에서도 light cost에 초점을 맞춘 논문이 등장하였다.

 

Abstract

  • mobile 환경에서 구동 가능할 정도의 가벼운 vision task CNN 모델이 등장하였었다. (mobilenet) 
  • 하지만, CNN과 달리 ViT는 최근 많은 vision task에 사용됨에도 불구하고, global representation들을 활용하기 위한 self-attention 구조를 사용하기 때문에, CNN에 비해 모델이 무겁다.
  • 이 논문에서는 CNN과 ViT를 결합하여 mobile vision task에서 구동 가능한 가벼운 ViT 모델을 만들 수 있는가? 에 대한 답을 제시한다. 
  • 이를 위해, 가볍고, 좋은 성능을 내고,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MobileViT를 소개한다. 
  • 실험에서는 MobileViT가 다양한 task와 dataset들에서 CNN과 ViT 기반의 모델보다 압도적인 성능을 보여준다.

 

Introduction

[배경]

  • ViT의 소개 이후로, ViT의 연구 트랜드는 model의 parameter의 양을 늘리면서, 좋은 성능의 모델을 만들어내는 것이었다. (LLM처럼...)
  • 하지만, 이런 모델 크기의 증가는 model의 용량 증가와 속도 저하등을 일으킨다. 
  • 실생활에서는 mobile 기기 같은 제한된 H/W에서 구동되어야 하는 task들이 많이 존재하기 때문에, 가볍고 빠른 모델에 대한 요구사항이 있다. 
  • 이를 위해, ViT의 parameter 개수를 줄이면, 오히려, 가벼운 CNN들보다도 좋지 않은 성능을 보여준다. 따라서, 어떻게좋은 성능을 유지하면서 가벼운 ViT를 만들 것인지에 대한 심도 깊은 고민이 필요하다.

[CNN + ViT]

  • 일반적으로 ViT는 CNN에 많은 wieght를 필요로 하고, optimize가 어렵다. 예를 들어, ViT 기반의 segmentation network는 345 million의 parameter가 필요한데, 비슷한 성능의 CNN은 59 million으로, ViT 기반이 비효율적이다. 이것은 ViT가 CNN의 특성인 image specific inductive bias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 좋은 성능의 ViT 모델을 위해서라면, convolution과 transformer의 하이브리드 방법을 채택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  하지만, 기존 시도된 하이브리드 방법들은 아직 매우 큰 model size를 가지고 있고, data augmentation에 민감하다는 단점이 있다. 

[MobileViT]

  • 이 논문에서는 제한된 H/W 리소스에서도 효과적으로 좋은 성능을 보이는 ViT 모델을 만들고자 한다. 
  • 모델의 효율성 측정을 위해 보통 사용되는 FLops는 mobile 장비 등에서 성능 측정에는 충분하지 않다. 이는 FLOPs는 memory access나 parallelism 정도, platform 특성등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이다. 
  • 따라서, 논문에서는 FLOPs을 optimize 하기보다는, light weight, general-purpose, low latency에 초점을 맞췄다.  
  • 이 논문에서는 CNN의 spatial inductive bias와 ViT의 global processing에 장점들을 결합가능한 MobileViT model을 소개한다.
  • 특히, local 정보와 global 정보를 모두 encoding 할 수 있는 MobileViT block은 효과적인 representation을 포함한 feature를 만들 수 있게 해 준다.

 

MobileViT : A light-weight Transformer

  • 일반적인 ViT model에서는 (H X W X C) 크기의 이미지를 P 사이즈의 patch들로 자르고, flatten 하고, projection 하여, (N X d) 크기의 inter patch representation으로 만든다.  이때, comnputational cost는 O(N*N*d)이다. (N: number of patch)
  • 이러한 ViT 구조의 모델들은 CNN에 내재된 spatial inductive bias를 무시하기 때문에, CNN에 비해 더 많은 parameter를 필요로 한다. 
  • 또한, 이런 구조들의 모델은 L2 regularization이나, overfitting을 피하기 위해 많은 data augmentation이 필요한 등 optimization이 어렵다. 

 
[MobileViT 아키텍처]
 
MiobileViT의 핵심 아이디어는 Transformer를 convolution으로 사용하여 global representation들을 학습하는 것이다. 
 

  • MobileViT block 
    • MobileViT block은 model이 input의 local과 global 정보를 적은 paramter 안에 모두 담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 우선 MobileViT는 (n X n) 개의 convolutional layer와 (1 X 1) convolution을 수행해 준다. 이로 인해, local representation을 포함하게 된다. 
    • global representation을 학습하기 위해, 앞서 covolutional layer의 output을 flatten 하고 겹치지 않도록, patch로 나눠준다. 그러고 나서, 이 patch들을 input으로 Transformer에 넣어준다. 
    • 이로 인해, 아래 그림처럼, local 정보를 포함하면서, global 정보까지 포함할 수 있는 feature가 완성되게 된다.

 

  • Light Weight
    • MobileViT는 image specific inductive bias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 ViT에 비해 훨씬 더 가벼운 모델로 학습이 가능하다. (dimension 등을 줄일 수 있음)
  • Computational Cost
    • MobileViT와 ViT의 computational cost를 비교하면, 각각 O(N*N*P*d)와 O(N*N*d)로 이론적으로는 MobileViT가 더 비효율적으로 보인다. 하지만, 실제로는 MobileViT가 DeIT ImageNet-1K image classification에서 2배 적은 FLOPs으로 1.8% 좋은 성능을 낼 정도로 더 효과적이다.
    • 이것은 더 가벼운 모델로 학습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Multi-scale sampler for training efficiency]

  • 일반적으로 ViT 기반의 모델들은 fine-tuning 시에 다양한 스케일의 representation들을 학습한다. 이 과정에서 Positional embedding을 사용하는데, 이는 input size에 기반하여 interpolation이 필요하고, interpolation 방법에 따라 성능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 CNN과 마찬가지로, MobileViT에서도 이러한 positional embedding이 필요가 없다. 
  • MobileViT에서 이러한 다양한 스케일의 representation들을 학습하기 위해, batch size를 변경시키는 방법을 사용했다. 다양한 spatial resolutions set을 만들어 놓고, 각 bach 시, resoluton을 무작위로 뽑고, 해당 resolution에 따라 batch size를 유동적으로 변경하여 학습했다. (small spatial resolution에는 많은 batch) 
  • 이러한 학습 방법은 더 빠른 optimize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실험 결과

  • MobileViT 모델을 scratch부터 ImageNet-1K classification dataset으로 학습했다.
  • multi-scale sampler로 각각 (160,160), (192,192), (256,256), (288,288), (320,320) 해상도를 사용했다. 
  • 성능 측정은 top-1 accuracy로 진행했다. 

[CNN과 비교]

  • MobileViT가 CNN 기반의 MobileNet 등의 light-weight CNN이나, ResNet 등의 일반적인 CNN의 성능을 압도했다.

[ViT 비교]

  • ViT와 비교해서도 좋은 성능을 보인다. 특히, DataAugmentation에 따라 성능이 크게 바뀌는 다른 모델들과 달리, Basic Augmentation만으로도 다른 ViT보다 좋은 성능을 보인다. 

 
 

총평

  • 매우 아이디어가 간단하고, 효과적인 것 같다.
  • 논문 내용만 보면, 장점만 많아서, 진짜인지 직접 돌려보고 싶다. 

 

Reference

Mehta, S., & Rastegari, M. (2021). Mobilevit: light-weight, general-purpose, and mobile-friendly vision transformer. arXiv preprint arXiv:2110.02178.

반응형

DETR 배경 설명

  • DETR은 2020년 Facebook AI 팀에 의해 발표된 논문이다. 
  • Transformer를 Object Detection 분야에 최초로 적용한 논문이다.

 

Abstract

  • 이 논문에서는 한 번에 물체의 위치와 classification을 진행할 수 있는 DETR이라는 새로운 네트워크를 소개한다.
  • 기존에 Object Detection에서 존재하던 NMS(Non-maximum suppression)이나, anchor box 생성 같은 manual 작업들을 제거한 detection pipeline을 구성하였다.
  • DETR의 주요 아이디어는 bipartite matching을 통한 unique predictions를 강제하는 "set-based global loss"와 transformer의 encoder-decoder 구조이다.
  • object query가 있을 때, DETR은 object들과 전체적 이미지의 context 간의 관계를 추론하고, 이 정보를 기반으로 최종 예측을 병렬적으로 수행한다.
  • 새로운 모델은 구조적으로 간단하고, 별도의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 DETR은 accuracy와 run-time 측면에서 Faster R-CNN 기반의 최적화된 모델들에 버금갈 정도의 좋은 성능을 보인다. 

 

Introduction

[배경]

  • 기존 Object detection 방법들은 미리 구성해 놓은 anchor box를 이용하여, 많은 object들의 후보군을 만들어 놓고, 이를 regression과 classification을 통해, 예측하고, 비슷한 예측결과를 지우는(NMS) 과정들을 통해 진행된다.
  • 이러한 과정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이 논문에서는 이미지에서 직접 물체의 위치를 추론하는 방법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 이미 음성인식등의 다른 분야에서는 이러한 end-to-end 방식이 성공을 거두었지만, object detection 분야에서는 이러한 시도들이 prior knowledge를 다른 방식으로 사용하거나, 성능 상에서 경쟁력이 없었다. 

[소개]

  • 이를 위해, 이 논문에서는 object detection의 학습 과정을 direct set prediction problem으로 접근한다. 
  • 논문에서는 transformer의 encoder-decoder 구조를 사용하였다. transformer의 self-attention 메커니즘은 비슷한 예측들을 제거하는데 적절한 constraints가 될 것이다. (아마, NMS를 대체할 수 있을 것이다.)
  • DETR은 모든 object를 한번에 예측하고, 예측값과 ground-truth object들 간의 bipartite matching을 이용한 set loss function을 통해 end-to-end로 학습된다.
  • 이를 통해서, 기존 object detection에서 prior knowledge를 담은 anchor box나 NMS 등을 제거할 수 있었다. 

[기존 set prediction과의 비교]

  • 기존의 direct set prediction과 비교하면, DETR은 bipartite maching loss와 transformer를 이용한 parallel decoding의 결합이 차이다. 
  • 기존 방식들은 RNN 방식에 의존하여, 예측 object들의 배열에 의존하는 것에 반해, DETR은 transformer를 이용한 parallel 연산으로 예측 object들의 배열에 의존하지 않는다.

[실험]

  • DETR을 가장 많이 사용되는 object detection의 dataset인 COCO에서 Faster R-CNN 기반의 좋은 성능 모델들과 비교해 보았다.
  • 최근(그 당시) 모델들은 최초 Faster R-CNN에서 구조 변화를 통해 성능이 크게 향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DETR은 그들과 필적할만한 좋은 성능을 보였다.
  • 조금 더 상세하게는, DETR은 large object들에 대해서는 더 좋은 성능을, small object들에 대해서는 더 낮은 성능을 보였다. 

 

 

DETR Model

  • DETR의 핵심요소는 (1) 예측과 ground truth 간의 unique matching을 만들어주는 set prediction loss와 (2) object 집합들을 예측하고, 그들 사이의 관계를 modeling 하는 아키텍처이다. 

[object detection set prediction loss]

<1번째 : matching 구하기>

  • 첫 번째로, DETR은 고정된 개수 N개에 대한 예측을 한다. 이때, N은 일반적인 이미지의 object 개수보다 큰 숫자이다. 
  • 이러한 구조의 학습과정에서 주요 이슈는 예측된 object를 ground truth와 어떻게 비교하냐이다. 이를 위해, 예측과 ground truth 간에 최적의 matching을 만드는 loss를 사용하였다.
  • y가 object들의 ground truth이고, y는 no object의 class도 가질 수 있다고 할 때, 예측과 ground truth 간의 bipartite matching을 갖는 조합을 찾기 위해 아래 식을 계산한다.

  • 위 식에서 L_match는 pair-wise matching cost인데, 이 는 class의 prediction과 예측과 ground-truth 간의 box 차이를 모두 고려한 cost이다.
  • 이러한 방식은 기존 detector들의 방식의 anchor 등과 유사한데, 그들과의 차이점은 기존 detector에서는 비슷한 예측들이 많이 존재하는데, matching loss에서는 1대 1 매칭이 된다는 것이다.

<2번째 : loss 구하기>

  • 두 번째로, 앞서 구했던 전체 matching 쌍들에 대해 Hungarian loss function을 계산한다. 이때의 loss는 일반적인 object detection의 loss와 비슷하게, class prediction에 대한 loss와 box loss의 합이다. 

  • 위의 식에서 우선 no object class의 matching cost는 prediction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상수이기 때문에 학습 과정에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 위의 식에서 box loss를 구성할 때, 기존 object detection의 box loss와 달리, loss의 scale에 대한 이슈가 있다. (기존에는 anchor에 대한 상대적 위치를 loss로 썼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 box loss로 주로 사용되는 L1 loss 뿐 아니라, IoU loss를 추가적으로 사용했다. 
  • 따라서 box loss는 아래와 같다. 

 

 

[DETR 아키텍처]

  • DETR의 전체 아키텍처는 아래 그림에서 보이는 것처럼 매우 간단하다. 

  • DETR은 크게 3가지 주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1) compact feature를 뽑기 위한 CNN backbone (2) encoder-decoder transformer (3) 최종 예측을 위한 feed forward network(FFN)
  • DETR은 Pytorch로 50줄 미만으로 inference code를 짤 수 있을 만큼 간단하다.
  • Backbone : 이미지를 CNN backbone을 통과시켜, feature를 얻는다. 일반적으로 2048 X (H/32) X (W/32) shape의 feature를 뽑았다.
  • Transformer encoder : 우선 1X1 convolution을 통해, channel dimension을 줄여줬다. encoder의 input으로 sequence 값이 필요하기 때문에, spatial 부분(H와 W)을 HW개의 sequence로 만들었다. encoder는 일반적인 transformer의 encoder이다. transformer 구조는 배열 순서에 무관하게 연산되기 때문에, 고정된 positional encoding 값을 더해서 이를 보충했다.
  • Transformer decoder : decoder도 일반적인 transformer의 구조를 따랐다. 조금 다른 점은 DETR은 N개 object를 병렬적으로 각 decoder layer에서 연산하였다는 점이다. decoder도 마찬가지로 배열 순서에 무관하게 연산되기 때문에, positional encoding을 decoder의 각 attention layer에 추가하여 연산한다. decoder에 의해 N개의 object query들은 output embedding으로 변환되고, 각각 독립적으로 FFN에 의해 box coordinate와 class label을 예측하게 된다. 
  • FFN : 최종 prediction은 ReLU activation을 사용하는 3개의 layer에 의해 연산된다. FFN은 box의 중심 좌표와 height, width와 class label을 예측한다. 최종 N개의 결과가 나오는데, 이중 no object를 제외하고, 나머지들이 DETR의 최종 예측이 된다. 
  • Auxiliary decoding loss : auxiliary loss를 사용하는 것이 decoder의 학습 중 각 class의 정확한 object 개수를 추정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모든 prediction FFN은 parameter를 공유한다. 

 

 

Experiments

  • COCO dataset에서 Faster-RCNN 기반의 최근(그 당시) object detection model과 필적할 정도의 좋은 성능을 보인다. 

  • 그밖에 encoder size나, selt-attention, segmentation에 적 등의 실험이 있다. 논문을 참조 바란다.

 

Reference

Carion, Nicolas, et al. "End-to-end object detection with transformers." European conference on computer vision. Cham: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20.

 

 

총평

  • Transformer가 당연(?)하게도 OD 분야에 적용되었다. 2020년에 발표되어 늦은 감이 있지만, 지금이라도 읽어서 다행이다.
  • Object Detection을 처음 접했을 때, anchor box를 사용하는 것과 NMS를 사용하는 것이 매우 비효율적이라고 생각하면서도 어쩔 수 없다고 생각하였는데, 결국 해결되는 것 같다. 
  • OD 논문을 열심히 읽어야겠다.
반응형

DeepViT 배경 설명

  • DeepVit는 2021년에 ViT에 후속으로 나온 논문이다.
  • ViT의 등장 이후, CNN 처럼 ViT를 깊게 쌓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 논문으로, ImageNet classification에서 기존 CNN 기반의 SOTA를 넘어서는 성능을 보였다고 한다.

 

Abstract

  • 이 논문에서는 Image Classification에서 Layer가 깊어질수록 좋은 성능을 내는 CNN과 달리, ViT의 performance는 layer가 깊어질수록 성능이 더 빨리 saturate 되는 것을 발견했다.
  • 이것은 transformer의 사이즈가 커지면서, attention map들이 점점 비슷한 형태를 띠는 "attention collapse issue" 때문이다.
  • 이것은 ViT에 deeper layer들을 적용하기 위해서 self-attention 방식이 효과적이지 못함을 보여준다.
  • 이러한 결과로, 이 논문에서는 간단하면서 효과적인 "Re-attention"이라는 attention map을 재생성해서, layer들의 다양성을 향상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 이 방법은 기존 ViT를 조금만 수정하더라도 좋은 성능을 보인다.

 

Introduction

[배경]

  • CNN 방식은 Image Classification 학습 시에 더 깊은 layer를 사용할 수록, 더 풍부하고, 복잡한 형태의 representations를 학습하기 때문에, layer를 어떻게 더 효과적으로 쌓는지에 대해서 연구가 많이 되고 있다.
  • ViT가 좋은 성능을 보이면서, 자연스럽게 ViT도 model을 깊게 쌓으면 CNN 처럼 성능이 좋아질 것인가? 에 대한 관심이 생기고 있다.

[ViT 깊이 실험]

  • 이를 검증하기 위해, 각기 다른 block number의 ViT를 가지고 ImageNet classification 성능을 비교해보았다.
  • 실험 결과, ViT 깊이가 커질수록 성능이 좋아지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했고, 심지어 성능이 떨어지기도 하였다.
  • 실험적으로 이유를 확인해 보았을 때, ViT의 깊이가 깊어지면, 특정 layer 이상에서 attention map이 비슷해지는 현상을 발생하였다. (즉, attention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함.) 더 깊어지면, 아예 모든 값들이 같아짐을 확인했다.
  • 즉, ViT의 깊이가 깊어지면 self-attention 방식이 더 이상 working 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방법 제안]

  • 이러한 "attention collapse" 문제를 해결하고, ViT를 효과적으로 scale 하기 위해, 이 논문에서는 간단하지만 효과적인 self-attention 방식인, "Re-Attention" 방식을 소개한다.
  • Re-Attention은 Multi-Head self-attention 구조를 따르고, 다른 attention head들의 information을 이용하여, 좋은 성능을 내게 한다.
  • 이 방식을 도입하면, 별도의 augmentation이나 regularization 추가 없이도, 더 깊은 block의 ViT를 효과적으로 학습하여, 성능향상을 확인할 수 있다. (SOTA)

 

Attention Collapse

  • ViT에서 Transformer block 개수를 다르게 ImageNet Classification을 수행해 보았을 때, 기존 ViT에서는 block 개수가 커질수록 Improvement가 점점 감소되고, 심지어 성능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이 이유를 CNN에는 없는 self-attention 때문으로 지목했는데, model의 깊이에 따른 attention을 확인해 보았다.
  • Transformer block이 32개 일 때, 각 block layer에서 다른 layer (인접한 k개의 layer) 와의 유사도를 구해본 결과 17번째 block을 넘어서는 순간 90% 이상의 거의 비슷한 output을 냄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이후의 attention map들이 거의 비슷한 형태를 보이고, MHSA가 MLP를 악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Re-Attention

  • Attention Collapse를 해결하기 위해, 두 가지 방법을 제안한다. 첫 번째는, self-attention 연산을 위한 hidden dimension의 수를 늘리는 것이고, 두 번째는,  re-attention 방식이다.

[Self-Attention in Higher Diemnsion Space]

  • Self-Attention이 비슷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Dimension size를 늘리면, 더 많은 정보를 가지고 있게 되고, attention map이 더 다양해지고, 비슷해지지 않게 된다.
  • 아래 그림과 표를 보면, 12 Block의 ViT에서 Dimension size를 늘렸을 때, 비슷한 Block들의 수가 줄어들면서, ImageNet 성능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성능적 한계가 있다는 점과, Parameter 숫자가 매우 늘었다는 단점이 있다.

[Re-Attention]

  • 다른 Transformer block 사이의 attnention map은 매우 비슷하지만, 동일 transformer block에서 다른 head 사이에서는 similarity가 작음을 확인했다.
  • 같은 attention layer의 다른 head들은 각기 다른 aspect에 집중하고 있기 때문이다.
  • 이 결과를 바탕으로, cross-head communication을 위해, attention map들을 재생성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 이를 위해, learnable parameter인 transformation matrix(H X H)를 개념을 도입하여, self-attention map의 head dimension 방향으로 곱해준다. 그 후 layer normalization을 진행하여 "Re-Attention" 구성한다. 

  • Re-Attention의 장점은 크게 2가지이다. 첫 번째는 Re-Attention map은 다른 attention head 들 사이에 정보를 교환할 수 있어, 상호 보완이 가능하고, attention map의 다양성을 늘린다. 또한, Re-Attention map은 효과적이면서 간단하다. 

→ 쉽게 말하면, self-attention을 진행할 때, 기존처럼 단순 softmax 값으로 값 참조를 하는 것이 아닌, 별도의 learnable parameter로 다양성을 향상하자는 개념임.

 

Experiments

  • 실험에서는 attention collapse 문제에 대한 설명을 위한 실험을 진행한다. 추가적으로 Re-attention의 장점에 대한 추가적인 실험을 진행한다. (생략) 
  • 논문에서 주장한 것처럼 Re-Attention을 사용하였을 때, 비슷한 attention 패턴이 매우 줄고, 이로 인해 image classification에서 기존 ViT보다 더 높은 성능을 보인다. (ImageNet)

  • Image Classification SOTA 모델들과 비교해 보았을 때도, 더 좋은 성능을 보인다.

Reference

ZHOU, Daquan, et al. Deepvit: Towards deeper vision transformer. arXiv preprint arXiv:2103.11886, 2021.

 

논문 총평

  • 내 식견이 넓지 않은 까닭인지 저자들이 주장하는 Attention Collapse 현상과 Re-Attention 논리 구조를 100% 이해하진 못했다. 
  • 다만, CNN SOTA와 비견할 정도로 높은 성능을 보인다는 점에서 좋은 연구였다고 생각한다.
반응형

NaViT 배경 설명

  • NaViT은 Google DeepMind에서 2023년 7월(리뷰 시점에서 1달 전)에 나온 논문이다. 
  • Model 크기에 맞게 Input size를 조정하던 기존의 CNN 구조에서 벗어나, ViT로 다양한 resolution의 input을 학습하고자 하였다. 

 

Abstact

  • computer vision model에서 이미지 처리 전에 고정된 이미지 resoultion은 최적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 ViT 같은 모델은 flexible한 sequence-based modeling을 제공하기 때문에, input sequence 길이를 가변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 이 논문에서는 ViT의 특징을 이용한, 학습과정에서 무작위의 resolution과 aspect ratio을 다룰 수 있도록 하는 sequence packing을 사용했다. 
  • 이 논문에서는 large-scale의 supervised 및 contrastive image-text pretraining을 통해 모델의 효과성을 보여준다.
  • 또한, 이 모델은 image, video classification이나, object detection, semantic segment등에 transfer 되어, 성능 향상에 사용될 수 있다.
  • inference time에서, input resolution의 유연성은 time cost와 performance의 trade-off 사이에서 최적을 찾을 수 있게 한다.

 

Introduction

[배경]

  • ViT는 간단하고, flexible, scalable 하며, 기존 CNN의 대체로 사용할 수 있다. 
  • ViT는 input image들을 resize 하고, 고정된 aspec ratio의 patch들로 잘라서, 모델의 input으로 사용한다.
  • 최근 고정된 aspect ratio을 사용하는 것을 대체할 방법을 제시하는 논문들이 등장하고 있다. 
  • FliexiViT는 다양한 patch size를 하나의 architecture에서 다룬다. 이것은 각 training step에서 patch size를 random sampling 하고, reszing algorithm이 초기 convolutional embedding이 다양한 patch size를 다룰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이 논문도 읽어 봐야겠다.)

[소개]

  • 이 논문에서 다른 이미지들에서의 여러 patch들이, single sequence로 묶여 처리하는 NaViT라는 모델을 소개한다. 논문의 아이디어는 NLP에서 다양한 example들을 singlel sequence로 처리하는 example packing에서 영감을 받았다.
  • NaViT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 학습 과정에서 training cost를 줄이기 위해, resolution을 randomly sampling 한다.
  • NaViT는 다양한 resolutons에서 좋은 성능을 보이고, cost-performance가 smooth 한 trade-off를 제공한다.
  • 고정된 batch shape은 aspect-ratio preserving resoltion sampling이나, variable token dropping rates, adaptive computation 등의 새로운 아이디어를 이끈다.
  • 동일한  computational cost 내에서, NaViT는 ViT를 능가하는 성능을 보인다.  이는 NaViT 한정된 computational cost 내에서 더 많은 양의 training example을 처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 향상된 efficiency는 fine-tuning process에서도 이어진다. NaViT는 pre-training과 fine-tuning에서 다양한 resolution으로 학습되었기 때문에, 무작위 resolution으로 평가하였을 때, NaViT는 더욱 효과적이다. 

 

Method

  • 기존 딥러닝 모델들은 fixed 된 이미지 사이즈를 사용한다. 이를 위해, 이미지를 resizing 하거나, padding을 하는데, 성능이 떨어지고, 비효율적이다.
  • 한편, Language Modeling에서는 example packing(다양한 example들을 하나의 sequence에 묶어서 학습을 가속화함)을 이용하여, 고정된 sequence length의 한계를 넘는다. 
  • 이 논문에서는 image를 token으로 대하여, ViT도 같은 방법으로 효과를 볼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를 Patch n'Pack이라 명명한다. 또, 이미지가 native resolution으로 학습될 수 있기 때문에, 이 모델을 NaViT로 명명한다.

[구조 변화]

  • NaViT는 ViT를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Patch n'Pack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몇 가지의 구조적 변화를 주었다.

1. Masked self attention and masked pooling

  • example들이 서로 겹치는 것을 막기 위해, self-attention masked를 추가하였다.
  • 마찬가지로, encode 최상단의 masked pooling은 token을 pooling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sequence 내의 각 example은 single vector representation으로 표현된다. 

2. Factorized & fractional positional embeddings

  • 무작위 resolution과 aspect ratio를 다루기 위해, factorized position embeddings를 제안한다. 
  • factorized position embeddings에서는 embeddings을 x방향과 y방향으로 decomposition 하고, 각각 합해진다.
  • 2개의 스키마를 고려하였는데, absolute embeddings와 factional embeddings이다. 특히, fractional embeddings는 상대적 거리이기 때문에, 이미지 사이즈와 무관하지만, original aspect ratio가 깨질 수 있다. 
  • 학습한 embedding과 sinusoidal embeddings, NeRF를 사용하여 학습된 Foueier positional embeddings을 고려한다.

 
[Training changes] 

  • Patch n' pack을 이용하여 학습과정에서 몇가지 새로운 테크닉을 사용할 수 있다. 

1. Continuous Token Dropping

  • Token dropping (학습 과정에서 input patch를 무작위로 빼는 것)은 학습을 빠르게 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 기존 Token dropping에서는 모든 example들에서 동일한 비율로 token이 drop 되지만,  continuous token dropping은 이미지마다 drop 비율이 달라질 수 있다.
  • 이로 인해, 학습이 빨라지고(처리 token 양이 줄기 때문) , 학습 시에 완전 이미지(drop 안 한 이미지)도 같이 학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2. Resolution sampling

  • NaViT은 original image의 aspect ratio를 유지하면서, random sampling 된 사이즈를 이용한다. 
  • original ViT에서는 작은 이미지를 통해 throughput이 커지면, performance도 증가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 NaviT은 다양한 resolution을 학습 시에 사용하기 때문에, 높은 throughput과 큰 이미지로 학습이 모두 포함되기 때문에, original ViT보다 성능 향상을 보인다. 

 
[Efficiency of NaViT]

  • NaViT의 computational cost에 대한 장이다.

1. Self attention cost

  • 원래 이미지의 patch를 자를수록 computational cost가 매우 증가하지만(quadratic 하게), Transformer의 hidden dimension이 늘리면, computational cost가 original image를 한 번에 처리하는 것보다 아주 조금만 늘어난다.
  • 매우 긴 sequence를 사용하면, memory cost가 많아, 속도가 느려지는 현상이 있는데,  memory-efficient 방법을 사용하여 이 문제를 해결하였다.

 
2. Packing, and sequence-level padding

  • prediction을 위한 최종 sequence length는 동일해야 한다. 
  • 길이를 맞추기 위해, example들을 perfect combination 하는 것이 아닌, fixed length가 되도록, 더해서 맞추거나, padding을 사용한다. 
  • padding 되는 toekn은 전체의 2% 이하이기 때문에, 간단한 방법으로 충분하다.

 
3. Padding examples and the contrastive loss

  • per-token loss가 직관적이지만, 많은 computer vision model들은 example 단위의 loss를 구한다. 
  • 이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example 개수의 max를 정해놓고, 그 이상은 drop 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런데, 이럼 학습 시에 아무것도 학습하지 않지만, computational cost를 낭비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 contrastive learning은 이 상황에 취약한데, time과 memory의 loss computational scale이 quadratic 하게 증가한다.
  • 이를 방지하기 위해, chunked contrastive loss라는 방법을 사용하는데, softmax 계산을 위해 모든 데이터를 모으는 것이 아닌, local device subset에 각각 데이터를 모으고, global softmax normalization을 위한 통계값만 뽑는 형식이다.
  • 이로 인해, 최대 example 수를 늘릴 수 있다.  

 
 

Experiments

  • NaViT은 기본적으로 original ViT을 따랐다. 
  • NaViT을 2개 setup으로 학습했다. classification training으로 JFT-4B를 사용했고(sigmoid cross-entropy loss 사용), contrastive language-image training으로 WebLI를 사용(contrastive image-text loss 사용)했다.
  • FLAX  library를 이용했고, JAX로 구현했다. 

 
[Improved Training Efficiency and performance]

  • 동일 computational cost에서 NaViT은 ViT을 능가한다. 
  • 동일 성능(Accuracy)을 위해, NaViT은 ViT보다 4배 이상의 빠르게 학습되었다.  

 

 
[variable resolution의 장점]

  • variable-resolution pre-training : fixed image로 학습한 최고의 결과도 variable resolution과 동일할 정도로, variable resolution이 우위에 있다.
  • variable-resolution fine-tuning : variable resolution으로 fine-tuning 한 게 성능이 더 좋고, fine-tuning을 low resolution으로 했더라도, higher resolution에 대한 성능을 유지하는 것을 보여준다. 

 
 

Reference

Dehghani, Mostafa, et al. "Patch n'Pack: NaViT, a Vision Transformer for any Aspect Ratio and Resolution." arXiv preprint arXiv:2307.06304 (2023).
 
 

논문 총평

  • 아이디어가 매우 간단하고, 직관적이여서 좋았다. 
  • 사실 아이디어도 중요하지만, 소스가 JAX로 짜놨다고해서, 코드를 한 번 보고 싶다!
반응형

ViT 배경 설명

  • ViT는 2021 ICLR에 나온, Google Brain의 논문이다.
  • NLP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던, Transformer를 computer vision 분야에 적용해 좋은 성능을 보여주었다. 

 

Abstact

  • Transformer가 NLP 분야에서는 standard로 자리 잡았지만, computer vision 분야에서 활용은 아직 한계가 있다.
  • vision 분야에서는 attention은 attention은 CNN과 함께 적용되거나, 그 요소를 바꾸는 데 사용하는 등, 전체적인 구조는 그대로이다.
  • 이 논문에서는 CNN구조의 중심이 불필요하고, image patches를 sequence 형태로 pure transformer에 바로 적용하는 것이 image classification에서 잘 working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 많은 양의 pre-trained 데이터로 학습하고, 적은 양의 image recognition benchmark들로 실험했을 때, Vision Transformer(ViT)는 SOTA CNN 구조보다 학습에 적은 연산 cost를 사용하면서 좋은 성능을 낸다.

 

Introduction

[배경]

  •  NLP 분야에서는 Transformer를 선두로 한, Self-attention-based 구조를 채택해서, 매우 좋은 성능을 보이고 있다.
  • Computer vision에서는 CNN 구조가 아직 대세이다. CNN 구조와 self-attention 구조를 연결하려고 노력하거나, conviolution을 대체하는 등 여러 연구들도 있었다.
  • 특히, convolution을 대체하는 연구는 이론적으로는 효율적이지만, 현재(그 당시) hardware accelerator 구조로는 적용이 어려웠다. 따라서, large-scale image recognition에서는 classic resnet 구조가 아직 SOTA였다.

[소개]

  • 이 논문에서는 standard Transformer를 거의 변경없이, 이미지에 적용한다. 이를 위해, image를 patch로 나누고, 이 patch들을 linear embeddings sequence 형태로 transformer에 넣는다. (image patche들은 NLP의 token처럼 다뤄진다.)
  • 모델은 image classification을 supervised learning으로 학습한다. 
  • ImageNet 같은 mid-sized 데이터셋에서 이 모델은 비슷한 크기의 resnet보다 몇 % 정도 낮은 수준의 정확도를 보인다. 
  • 이 결과는 기대에 밑돌아, Transformer가 inductive biases(추상적 일반화)가 CNN에 비해 떨어진다고 생각할 수 있다. 
  • 하지만, 대용량 dataset에서 실험했을 때, 상황은 바뀐다.
  • ViT는 충분한 pre-trained 데이터가 있을 때, 매우 좋은 성능을 보인다. 

 

Method

  • 모델 디자인은 original Transformer를 최대한 비슷하게 따랐다. (구현이 되어 있기에 바로 적용할 수 있어서)

[ViT]

  • Transformer는 1D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이미지는 2D이다. 이미지(HXWXC)를 다루기 위해, Image를 2D patches(PXPXC) 개로 나누었다. 
  • Transformer는 각 layer에서 constant latent vector size D를 유지하는데, 이를 위해, patch들을 학습 가능한 linear projection을 통해, D dimension 화하였다. 그리고, 이 결과를 patch embeddings라고 부른다.
  • BERT의 class token 처럼, patch embedding의 앞에 learnable embedding을 붙인다. 이것은 Transformer encoder의 output이 이미지 representation(y)이 될 수 있도록 사용된다. 
  • pre-training과 fine-tuning 단계에서 모두, Transformer encoder의 ouput이 classification의 head로 이용된다. 
  • classification head는 pre-training 단에서는 one hidden layer의 MLP로, fine-trurning 단계에서는 하나의 linear layer로 구성된다. 
  • Position embeddings는 patch embeddings에 더해져, 공간 정보를 제공한다.
  • ViT에서는 학습 가능한 1D position embeddings를 사용했는데, 2D의 position embedding이 성능에 딱히 영향이 없는 것 같아서 그랬다고 한다.
  • Transformer encoder는 multiheaded self-attention의 대체 layer들과 MLP block으로 구성되어있다.
  • Layernorm은 각 block 전에 적용되어 있고, 모든 block 끝에는 residual connection이 존재한다.
  • MLP는 GELU 함수를 사용한 2개의 latyer로 구성되어 있다. 

 
[Inductive bias]

  • ViT는 image specific inductive bias가 CNN에 비해 덜하다.
  • CNN에서는 지역 정보, 2D neighborhood 정보, translation 등분산성(골고루 보고 처리한다.)이 각 layer에 담긴다.
  • ViT에서는 MLP layer에서만 translation 등분산성과 지역 정보를 보고,  self-attention layer들에서는 전체적으로 본다. 
  • 2D neighborhood 정보는 드물게 사용된다. model의 시작에 이미지를 cutting 하고, fine-tuning 때는 position emeddings를 다른 resolution으로 처리하기 때문이다. 또한, initinalization 시에 embedding에는 정보가 없기 때문에, patch의 2D 위치와 patch 간의 공간 관계에 대해 처음부터 스스로 학습해야 한다. 

[Hybrid Architecture]

  • raw image patches의 대안으로, CNN의 feature 형태로 input sequence를 구성할 수 있다. hybrid model에서는 patch embedding을 CNN feature map으로부터 뽑는다.
  • 어떤 케이스에서는 1X1이 될 수 있는데, 이 것은 input sequence가 spatial dimension 정보를 flatten 한 케이스이다.
  • classification input embedding과 postion embeddings들은 아래처럼 더해진다. 

 
[Fine-turning and Higher resolution]

  • 기본적으로 ViT를 large dataset에서 pre-train 하였고, 적은 데이터셋에서 fine-tune 하였다.
  • 이를 위해, pre-trained prediction head를 지우고, zero-initialized D X K layer를 넣었다. (K는 classification class 개수)
  •  pre-trained 보디, fine-tune 때 높은 해상도의 이미지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 고해상도 이미지를 넣을 때, patch size는 동일하게 유지한다. (sequence length만 늘어난다.)
  • ViT는 임의의 sequence length를 다룰 수 있지만, 그러면 pre-training 된 position embedding은 더 이상 의미가 없다. 
  • 이때는 pre-trained position embedding에 original image에서의 위치에 따라, 2D interpolation을 통해 처리했다. 

 

Experiments

  • Resnet, ViT, hybrid model을 실험했다. 
  • 각 모델의 데이터 필요도를 확인하기 위해, 다양한 사이즈에서 pre-train을 하였고, 다양한 benchmark에서 실험했다.
  • pre-training의 연산 cost를 생각했을 때, ViT는 매우 순조롭게, 적은 양의 연산 cost 만으로 SOTA recognition benchmark에 도달했다. 

[Setup]

  • Dataset : ILSVRC-2012 ImageNet 데이터셋(1000 classes, 1.3M images), superset ImageNet-21k(21k classes, 14M images), JFT(18k classes, 303M high resolution images)을 사용했다. benchmark로는 ImageNet의 original validation labels와 cleaned-up Real labels, CIFAR-10/100, Oxford-IIIT Pets, Oxford Flowers-102를 사용했다. 
  • Model Variants : ViT의 configuration는 BERT를 기반으로 했다. patch size가 작아질 수 록 연산은 expensive 해진다. (token이 많다고 생각하면 됨) CNN의 baseline으로는 ResNet을 사용했지만, Batch Normalizaation layer를 Group Normalization으로 대체했다.

[SOTA와 비교]

  • 특정 모델에서 ImageNet의 SOTA인 NoisyStudent보다 좋은 성능을 보여준다. 

 

Conclusion

  • image recognition에 Transformer를 사용해 보았다.
  • 과거 computer vision에서의 self-attention 구조와 다르게, image-specific inductive biases를 구조에 넣지 않았다. 
  • 대신에, 이미지를 patch들의 sequence로 다뤄, NLP처럼 처리했다. 
  • scalable 하고, large dataset에서 pre-training 했을 때, 잘 working 하여, ViT는 pre-trained에 많은 cost를 쓰지 않고도, SOTA image classification에 버금가는 성능을 보여주었다. 
  • 아직, 나아갈 길이 많다. (detection이나 segmentation 적용 등)

 

Reference

Dosovitskiy, Alexey, et al. "140 Thomas Unterthiner, Mostafa Dehghani, Matthias Minderer, Georg Heigold, Sylvain Gelly, 141 Jakob Uszkoreit, and Neil Houlsby. An image is worth 16x16 words: Transformers for image 142 recognition at scale." ICLR 3 (2021): 143.
 

총평

  • NLP 분야에서 혁신을 이뤄낸, transformer를 vision 분야에 도입하여 성능을 낸 게, 지금 시점에서는 당연해 보이지만, 이 도입을 위해 얼마나 고민하고, 실험했을지 싶다.
  • NLP처럼 transformer를 시작으로, GPT, BERT 등으로 이어지는 거대 모델의 흐름이 vision에도 적용될 것인지 살펴봐야겠다.

+ Recent posts